[예고] ‘영원한 전쟁’의 끝에서 아프간의 목소리를 듣다 | 시사직격 89회 | KBS 방송
재생 0회 | 등록 2021.09.099·11 테러 20년 ‘영원한 전쟁’의 끝에서 아프간의 목소리를 듣다 방송일시 : 2021년 9월 10일 금요일 밤 10시 …
9·11 테러 20년 ‘영원한 전쟁’의 끝에서 아프간의 목소리를 듣다 방송일시 : 2021년 9월 10일 금요일 밤 10시 <시사직격>은 프리랜서 저널리스트 등을 통해 친 탈레반 인사들을 비롯해 탈레반 정권에 저항하는 여성들을 포함한 현지 상황의 취재에 성공했다. 9·11 테러로 인해 발발한 아프가니스탄 전쟁. 개전 이후 탈레반 정권이 무너지고 친미 정권이 세워지며 미국의 승리로 끝나는 듯했지만 결국 미군의 철수와 탈레반의 복귀로 20년 만에 마무리되었다. 다시금 아프간을 장악한 탈레반은 전세계에 자신들의 변화를 천명했으나 카불 공항에는 수많은 난민들이 모여 탈출을 시도했다. 일명 ‘영원한 전쟁’이 끝났음에도 IS의 폭탄 테러가 일어나고 자유를 지키려는 여성들의 시위에 대한 탈레반의 탄압 등 연일 새로운 희생자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이 모든 비극의 원인은 무엇일까. 그리고 아프간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시사직격>은 앵커, 미용실 주인, 박물관장, 저항군 대변인 등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원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들으며 아프간의 현실을 살펴보았다. 국내 방송 최초, 아프간 직접 취재 시도 8월 15일,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에 입성했다. 그로부터 3주가 지난 지금, 카불은 어떤 모습일까. <시사직격>은 현지 저널리스트와 함께 살펴봤다. 거리 곳곳에총기를 든 탈레반이 배회하는 가운데, 문 닫힌 은행 앞에 늘어선 사람들과 때아닌 호황을 맞은 부르카 상점이 대조를 이뤘다. 그리고 탈레반 치하에서 반드시 부르카를 입고 온몸을 가려야 하는 여성들. 탈레반은 자신들이 바뀌었다고 했지만, 정작 새로운 내각의 구성원들은 그들의 주장과 달랐다. 또한 카불 공항에 운집한 수많은 사람들과 <시사직격>이 만난 여성들은 어떻게든 이 상황을 벗어나고 싶어 했다. 하루아침에 생업과 학업을 포기해야 했던 여성들, 그리고 어린 딸들을 보호하고자 고향을 떠난 난민 가족의 목소리를 통해 탈레반 장악 이후 지금까지의 상황을 되짚어본다. “사람들은 당연히 편안하게 살 것이며 우리나라가 번영해질 것이라고 말하고 싶어요 그리고 타락한 자, 부역자, 나라를 떠난 이들 모두를 단죄하길 원해요” -탈레반 병사 “예전에는 친구들끼리 앉아서 미래에 대한 얘기를 나눴어요 그런데 지금은 살아남을 생각밖에 안 해요” -카불의 여대생 “제가 은행에 온 지 4일째입니다 그런데도 아직 돈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식량과 기름이 없으니 이 많은 사람들이 돈을 찾으러 이곳에 옵니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카불 시민 전쟁과 평가: 40년 전쟁은 무엇을 남겼나 9·11테러와 이어진 전쟁이 끝나기까지 20년이 흘렀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의 아픔은 40년 넘게 계속되는 중이다. 소련의 침략과 내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아프간 사람들이 고통받았다. 특히 하미르 카르자이와 아슈라프 가니 등 친미 정권의 부패와 미군의 오폭은 탈레반 승리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이른바 ‘영원한 전쟁’의 흐름에 따라, 그 교훈을 정리해봤다. “미국의 아프간 전쟁은 시작도, 과정도, 그리고 마무리도 잘못됐고 실패한 전쟁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테러와의 전쟁은 테러리스트들을 양산하는 전쟁으로 변질했어요 그런 측면 속에서 강대국이 다른 민족과 국가를 점령하고 통치하는 것은 21세기에 더 이상 맞지 않는 모델이라고 봅니다” -한국외대 페르시아어·이란학과 유달승 교수 ‘제국의 무덤’을 넘어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이 살고 싶은 터전을 그리다 아프가니스탄은 ‘제국의 무덤’으로 불린다. 영국, 소련, 그리고 미국에 이르기까지 한 시대를 풍미한 강대국들의 침략을 받았으나 최후의 승자가 된 아프간. 하지만 연이은 전쟁 속 대다수의 아프간 사람들은 승리자가 아닌 희생자였다. 그러나 그들은 꿈, 이상, 인권과 평등 등의 보편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시사직격>과 인터뷰를 한 지 일주일 만에 전사한 북부동맹의 대변인 파힘 다슈티, 바미안 석불의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며 카불에 남아 박물관을 지키는 관장 파힘 라히미, 그리고 탈레반의 압제에 맞서 지금도 거리에 나서는 수많은 여성들이 그 예이다. 그들이 그리는 아프간의 미래상은 무엇인지, 또한 이를 이룰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우리의 바람은 (탈레반과의) 협상을 통해 평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이 평화는 안전을 넘어 아프간 국민들의 인권 신장과 사회적 평등이라는 가치를 추구합니다 우리는 아프간 국민들의 마음을 대변하는 정부를 세우고 싶습니다” -민족해방전선(NRF) 대변인 故 파힘 다슈티 “두려워 하지 마라! 우리는 모두 함께 있다” -탈레반에 맞서 시위에 참여한 여성들의 구호 ‘영원한 전쟁’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들어보는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의 이야기. <9·11 테러 20년-영원한 전쟁의 끝 아프간의 목소리를 듣다> 편은 금요일 10시 KBS1TV <시사직격>에서 방송된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21. 09. 10
카테고리 뉴스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재생 01:31섬총각 영웅 임영웅, 소모도 어머님들에게 전하는 위로곡 <엄마의 노래> 열창
-
재생 00:35여왕의 집 [98회 예고] 아빠 이제야 되찾았어요 [여왕의 집] | KBS 방송
-
재생 09:18여왕의 집 [97회 하이라이트] "쓰레기들 전부 끌어내요" 박윤재를 상대로 집을 다시 되찾은 함은정 [여왕의 집] | KBS 250916 방송
-
재생 02:11여왕의 집 "감시 당하던 건 나였나" 모든 죄가 폭로되는 박윤재 [여왕의 집] | KBS 250916 방송
-
재생 02:40여왕의 집 "지호 내가 데려가야겠습니다" 이창욱의 폭탄 발언에 당황한 박윤재 [여왕의 집] | KBS 250916 방송
-
재생 01:27여왕의 집 박윤재와 가족들을 쫓아내는 함은정 "다들 내 집에서 나가요" [여왕의 집] | KBS 250916 방송
-
재생 03:09여왕의 집 "전부 가짜잖아요" 박윤재를 압박하는 이창욱 [여왕의 집] | KBS 250916 방송
-
재생 01:39여왕의 집 "눈이 멀었을 땐 안 보였는데..." 이제야 정신을 차린 박윤재 [여왕의 집] | KBS 250916 방송
-
재생 02:38여왕의 집 드디어 미람의 한을 풀어주는 서준영 "사망한 제 동생입니다" [여왕의 집] | KBS 250916 방송
-
재생 02:04여왕의 집 "끝까지 버텼어야지!" 잘린 박윤재, 답답한 소리만 하는 이보희 [여왕의 집] | KBS 250916 방송
-
재생 02:19여왕의 집 빠져나갈 길 없는 박윤재, 그저 헛웃음만... "해임안이 가결되었습니다" [여왕의 집] | KBS 250916 방송
-
재생 03:172025 한일가왕전 [한국 팀] 진해성 사장카노 야도(동백 여관) MBN 250909 방송
-
재생 00:29태양을 삼킨 여자 [73회 예고] "이상한 거라뇨?", MBC 250917 방송
-
재생 04:282025 한일가왕전 [한 곡 배틀] 진해성X타쿠야(TAKUYA) 유리의 기억 MBN 250916 방송
-
재생 01:29섬총각 영웅 임영웅, 아름다운 노을 바라보며 부르는 <천년지기>
-
재생 04:122025 한일가왕전 [한국 팀] 박서진 가는 세월 MBN 250916 방송
-
재생 00:25대운을 잡아라 [109화 예고] 전혀 방법이 없다는 건가요? [대운을 잡아라]] | KBS 방송 [대운을 잡아라] | KBS 방송
-
재생 02:58태양을 삼킨 여자 "큰언니 상대하지 마" 불안해하는 박서연을 달래주는 장신영, MBC 250916 방송
-
재생 03:14태양을 삼킨 여자 "재밌잖아요~" 전노민의 얼굴에 장난치는 손세빈, MBC 250916 방송
-
재생 02:10태양을 삼킨 여자 "그런데요?" 전노민의 상태에 이상함을 느낀 서하준, MBC 250916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