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무릎 뒤 볼록한 혹? ′′베이커 낭종′′

재생 0| 등록 2022.07.26

<앵커> 무릎 뒤가 붓다가 알처럼 볼록하게 뭔가 만져질 때가 있습니다. ′′베이커 낭종′′으로 이름 붙여진 물혹일 가능성이 …

<앵커> 무릎 뒤가 붓다가 알처럼 볼록하게 뭔가 만져질 때가 있습니다. ′′베이커 낭종′′으로 이름 붙여진 물혹일 가능성이 큰데요. 건강365에서 자세한 정보 나눠봅니다. <리포트> 여름철, 오금이 저리는 공포영화로 무더위를 이기는 분들이 많죠. 그런데 여기서 ′′오금′′은 어디일까요? 무릎 뒤쪽의 오목한 이 부분! 종종 물혹이 생기기도 하는 부위입니다. <출연자> (한승철 휴병원 병원장 / 차의과학대학*대학원 졸업, 차의과학대학 분당 차병원 전문의 수료 ) {Q.무릎 뒤에 물혹이 생기는 이유는? } {무릎 뒤 오금에 생기는 물혹을 베이커 씨 낭종이라고 합니다. 보통 40~50대 여성분들에게 잘 발생하고 이 질환은 연골판 파열이나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관절의 물이 무릎 뒤쪽인 오금으로 빠져나간 후에 다시 돌아오지 못해 혹을 만들면서 발병하게 됩니다. } 물혹 크기는 사람마다 다른데요. 메추리알만한 것부터 달걀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출연자> {Q.부기인지 물혹인지 어떻게 구분하나요? } {단순한 부기의 경우에는 무릎 앞쪽과 무릎 전체가 부어오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혹인 베이커 낭종의 경우에는 무릎 후방부가 알처럼 둥글게 만져지고 무릎의 염증 상태에 따라서 크기가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게 됩니다. } 시간이 지나면 단단하던 물혹이 말랑해지기도 하고, 저절로 없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더 커지면서 불편해지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출연자> {Q.물을 빼내기만 하면 될까요? } {물혹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해서 완전히 제거 가능합니다. 관절내시경 시행 전에는 MRI 검사로 연골판 파열 등의 근본적인 문제를 확인해서 같이 해결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외래에서 간단하게 주사기로 물을 빼기도 하는데 근본적인 원인 제거가 되지 않아서 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보통 이 물혹은 무릎 관절이 약해지는 중장년층에서 많이 생깁니다. 대신 무릎을 다친 적이 있는 젊은 층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출연자> (한승철 / 휴병원 병원장 ) {Q.베이커 낭종을 부르는 이 자세? } {쪼그려 앉거나 양반다리로 장시간 앉아있는 것은 무릎 관절에 부담이 가는 자세이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평소에 관절 주위 근육을 강화시켜 주는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 베이커 낭종은 재발이 잘 됩니다. 특히 보조기구 없이 등산을 하거나 쿠션이 없는 신발을 신고 달리는 동작은 무릎에 부담을 줘서 피해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22. 07. 26
카테고리       교양

더보기
KNN 건강365
연속재생동의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TV조선
  • MBN
  • CHANNEL A
  • Jtbc
  • CJ ENM
  • KBS
  • MBC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