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가꾸기 정책, 순기능 대신 ′′역기능 많아′′

재생 0| 등록 2022.06.26

<앵커> 산림청이 건강한 숲을 위해 실시한다는 숲 가꾸기 사업의 역작용에 대해 보도해드리는 기획 ′′누구를 위한 숲 가꾸기 …

<앵커> 산림청이 건강한 숲을 위해 실시한다는 숲 가꾸기 사업의 역작용에 대해 보도해드리는 기획 ′′누구를 위한 숲 가꾸기 사업인가′′입니다. 오늘은 세 번째 순서로, 미세먼지와 탄소 저감 효과에 숲 가꾸기 사업이 어떤 역기능을 하는지 짚어봅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금정구 아홉산 일대입니다. 곳곳에 잘려 나간 나무들이 그물망에 담겨 있습니다. 숲 가꾸기 사업이 한창인 이 곳은 올해에만 사업 면적이 60 헥타르에 이릅니다. 이 곳의 ′′미세먼지 저감 숲 가꾸기′′ 사업은 . 불량목들을 베어내 미세먼지를 줄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하지만 사업의 정확한 근거가 부족합니다. 나뭇잎에 달라 붙은 미세먼지는 나무에 흡수된 뒤, 주변의 기온과 습도에 따라 점차 땅 속으로 이동하면서 줄어듭니다. 나무를 베면 자연히 나뭇잎이 줄고 숲 속의 습도도 떨어져, 미세먼지 감소 효과도 줄어듭니다. 이에 대해 산림청은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것뿐 아니라 건강한 숲을 만들자는 차원에서 이름 붙인 사업이라 답했습니다. 숲 가꾸기 사업은 탄소 저감 효과도 감소시킵니다. 한국농림기상학회가 전남 완도수목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간벌을 하지 않은 곳은 핵타르 당 74톤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지만, 간벌 강도에 따라 탄소 저장량은 현격히 줄어듭니다. 지난 20년 동안 국내 산림의 66%를 꾸준히 베어 내는 사이, 탄소저장량도 그만큼 감소됐습니다. 많은 생명들의 쉼터인 숲 속의 종 다양성도 위협받게 됩니다. {김합수/생태전문가/′′건조도가, 간벌을 하기 전에는 눅눅한 곳에서 살던 생물 종들이 양서류나 파충류라든지 잘 살아갔었는데...간벌을 하고 나니깐 땅의 건조도가 심해져서 양서류는 거기서 살 수 없는 환경이 돼 버렸습니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일수록 생태학적 가치는 당연히 높습니다. 하지만 숲 가꾸기 명목으로 진행되는 간벌 사업이 임야의 생태적 가치를 훼손하면서, 개발행위에 면죄부만 주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22. 06. 26
카테고리       뉴스

더보기
KNN뉴스
연속재생동의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TV조선
  • MBN
  • CHANNEL A
  • Jtbc
  • CJ ENM
  • KBS
  • MBC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