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N주간시정]부산시 캐릭터 ′′부기′′...′′제2 펭수′′로 뜨나?

재생 0| 등록 2021.10.13

<앵커> 한 주간 부산시정의 이모저모를 살펴보는 주간시정 시간입니다. 오늘도 김성기 기자와 함께 하겠습니다. 부산시가 6…

<앵커> 한 주간 부산시정의 이모저모를 살펴보는 주간시정 시간입니다. 오늘도 김성기 기자와 함께 하겠습니다. 부산시가 6개월전 만든 캐릭터인 ′′부기′′가 전국구 스타로 떠오를 조짐이라고 하는데요, 전국 캐릭터 대회에서 5관왕을 차지한데다, 저작재산권이 개방되면서 지역 기업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구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부산의 한 문화콘츠 제작업체는 최근, 국내 최초로 어린이 오페라 동요를 만들었습니다. 누리과정에 맞춰 언택트용으로 제작됐는데, 부산시 소통 캐릭터 ′′부기′′가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 부산 상징인 갈매기를 형상화해 친근한 이미지인 부기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첫 등장한 부기는 6개월만에 전국 120여개 캐릭터가 참가한 경연대회에서 5관왕을 차지하면서, 전국구 스타로 발돋음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행사나 유튜브 동영상을 통해 시민과 소통하고 있는데, 캐릭터의 완성도와 활용도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무엇보다 저작재산권을 개방해 부산지역 기업 15곳이, 부기 캐릭터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관광기념품과 판촉물, 문구류,패션소품에 적용돼 서서히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선, 지역 특성을 담은 캐릭터를 새롭게 만드는데 드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95년부터 사용해온 부산 마스코트 ′′부비′′의 한계를 넘어, 부기가 ′′제2의 펭수′′로 인기몰이를 할지 주목됩니다. <앵커> 부산항 북항 재개발 사업과 관련해 해양수산부가 당초 약속한 지원 비용 일부를 부산시에 떠넘기려 하고 있는데요, 그 과정에서 해수부 장관이 스스로의 발언을 뒤집는 행태까지 보이면서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구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 2018년 부산시는 중단됐던 부산항 북항 오페라하우스 공사를 재개했습니다. 부산항만공사가 공사비를 분담한다는 협약을 부산시와 맺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오거돈 부산시장과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사이 합의로 도출된 결과였습니다. 그럼에도 지난 7일, 국정감사에 출석한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완전히 딴소리를 했습니다. 오페라하우스 공사비와 관련해선 전혀 모른다며 발뺌을 한 겁니다. 해수부와는 무관한 협약이라며, 오페라하우스 건립비는 부산시가 모두 부담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불과 8개월전, 문 장관의 발언은 달랐습니다. 문 장관은 지난 2월 국회에서, 5백억원 정부 지원을 인정하고, 지원방법도 어느 정도 합의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정권이 바뀐 것도 아닌데 대통령이 임명한 장관이 자신의 말을 손바닥 뒤집듯이 부정한 것입니다. 북항재개발 내 설치되는 트램의 차량구입비도 논란입니다. 해수부는 당초 계획과 달리, 궤도와 부속시설 공사비만 부담할 수 있다며, 180억원 가량되는 차량은 부산시가 구매하라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하지만 부산시와 지역정치권 등은, 지금까지 자치단체가 철도 사업을 하면서 궤도 따로, 철도 차량 따로 사업을 한 적이 없다며, 해수부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습니다. 행정의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해수부와 해수부장관의 말바꾸기에 지역사회가 들끓고 있습니다. <앵커> 자치경찰제가 시행된지 100일을 맞으면서, 도입 취지인 지역 맞춤형 치안 서비스의 실현 가능성은 확인할 수 있었지만, 부족한 점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가 출범 100일을 맞았지만, 여전히 낯설고 생소하다는 시민들이 많습니다. 자치경찰위가 시책 홍보와 의견 수렴을 위해 시작한 SNS도, 시민들과의 소통이 크게 활발하진 않습니다.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가 그동안 추진한 시책들을 살펴봤는데요, 피서철 해수욕장 치안대책 수립과 집중호우 대비 교통대책 수립 등 대다수가 기존에 해오던 업무들 입니다. 자치경찰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파급력 있는 주민 밀착형 안건을 발굴하는 게 중요한데, 아직 미흡합니다. 자치경찰제가 광역 단위로 도입돼, 조직이 없는 기초단위에서는 이 제도를 체감하기 힘들다는 게 문제입니다. 현장 최일선에 있는 경찰서나 기초단체, 또 지역 주민들의 자치경찰제 참여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일선 구군에 자치경찰 기능을 확충하고, 지역 맞춤형 특수 시책을 발굴할 연구 인력을 늘리는 게 시급합니다. 이를 위한 예산도 충분히 확보돼야 하는 등 자치경찰제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제도 보완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김성기 기자였습니다. 김기자 수고했습니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21. 10. 13
카테고리       뉴스

더보기
KNN뉴스
연속재생동의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TV조선
  • MBN
  • CHANNEL A
  • Jtbc
  • CJ ENM
  • KBS
  • MBC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