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 공개증언 30주년 - 김학순, 우리 앞에 서다 | 시사직격 85회 | KBS 방송

재생 0| 등록 2021.08.13

공개증언 30주년 - 김학순, 우리 앞에 서다 방송일시 : 2021년 8월 13일 금요일 밤 10시 “우리가 강요에 못 …

공개증언 30주년 - 김학순, 우리 앞에 서다 방송일시 : 2021년 8월 13일 금요일 밤 10시 “우리가 강요에 못 이겨, 했던 그 일을 역사에 남겨두어야 한다” 故 김학순 할머니 - 1991년 8월 14일 종로의 한 사무실에서 충격적인 이야기가 터져 나왔다. 일본이 부정해오던 ‘위안부’ 강제 동원에 대해 누군가 증언을 한 것. 피해 사실을 증언한 사람은 바로 故 김학순 할머니였다. 일본군‘위안부’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일본의 주장은, 김학순의 증언을 기점으로 뒤집혔으며, 숨어있던 피해자들의 증언을 끌어내는 단초가 되었다. 모두가 위안부 운동의 의미를 말하는 오늘, <시사직격>은 김학순 할머니의 ‘위안부’ 최초증언이 지금의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다시 꺼내본다.  김학순과 윤정옥 김학순 할머니의 ‘위안부’ 피해 사실 증언은 갑자기 이뤄진 것이 아니다.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이 있기 전, 일본군‘위안부’ 강제 동원을 입증하기 위해 나선 사람 중 한 명이 바로 일본군‘위안부’ 운동의 1세대 활동가인 윤정옥 교수다. 윤정옥 교수는 자신이 운이 좋아서 일본군‘위안부’에 끌려가지 않았을 뿐이라고 한다. 그때 끌려갔던 소녀들의 억울함을 알리는 것이 평생의 과업이라고 생각했던 윤정옥 교수는, 이후 평생을 한국과 국제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 “내가 위안부라는 말은 알지도 못했는데, 어떤 강제징용 나갔던 어떤 아저씨한테 들은 얘기거든 ... 내 질문은 위안부가 뭐냐였다가, (그 다음에는) 사람이 사람한테 이럴 수가 있나? ” 윤정옥 교수 인터뷰 中-  김학순과 함께 싸웠던 사람들 1988년 윤정옥, 김혜원, 김신실. 세 사람은 강제동원 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을 찾기 위해 일본으로 떠났다. 일본 곳곳을 돌아다녔지만, 막상 그들이 찾은 피해자들은 마음의 문을 닫고 이들에게 만나주지 않았다. 피해 당사자의 증언이 꼭 필요했던 상황에서 드디어 최초의 증언자가 나타났다. 김학순 할머니였다. 1991년 8월, 김학순 할머니는 일본군‘위안부’ 피해 사실에 대해 낱낱이 증언을 하였고, 뒤이어 숨어있던 다른 피해자들도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시사 직격>은 윤정옥 교수를 비롯한 1세대 활동가들을 통해 ‘위안부’운동의 탄생과 분투기를 들었다. “최초증언자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김학순 할머니가 최초증언자였기 때문에 이 운동이 초기부터 굳건하게 설 수 있는 큰 영향을 미쳤다, 라고 저는 믿고 있습니다.” 이미경 일본군‘위안부’ 1세대 활동가 인터뷰 中-  최초공개, 가해국에서의 증언 피해자의 증언을 통해 가해국과 가해자의 인정과 반성을 이끌어 내고자 했던 활동가들. 김학순 할머니의 최초증언 4개월 후 1991년 도쿄의 한 강연장은 뜨거운 열기로 가득했다. 정원이 200명이었음에도 4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찾아왔었다고 하는데. 이들은 모두 김학순 할머니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모인 사람들이었다. 가해국, 그리고 가해국민 앞에서 일제의 모든 만행을 고발한 김학순. 당시 현장에 있던 양징자 대표는 김학순의 증언에 사람들은 충격과 죄책감을 느끼는 분위기였다고 말하는데. 당시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 영상을 <시사 직격>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김학순 할머니가 가해국에서 피해 사실을 증언하고 가해 국민에게서 열띤 반응을 받을 수 있었던 데는 또 다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배봉기 할머니의 영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해방 후, 오키나와에서 체류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위안부’ 피해 사실을 말해야만 했던 배봉기 할머니. <시사 직격>은 배봉기 할머니가 유일하게 마음을 열었던 김현옥 씨와 배봉기 할머니를 취재했던 작가 가와다 후미코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일본뿐 아니라 어디에도 가서, 내 이 증언은 꼭 하고 싶어요. 좋아질 때까지, 언제든지, 내가 살아있을 때까지, 언제까지라도 내가 이것을 하겠어요. ” -1991년 12월 9일 김학순 할머니 증언 中- “일본이 과거에 이런 일을 행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거나 피해 당사자를 보면서 크게 죄책감을 느끼는 분위기였어요“ 양징자 대표 인터뷰 中-  일본 천황에게 유죄를 선고한다 2000년 12월, 도쿄 구단회관에서 일본군 성노예 전범에 대해 열린 국제법정이 열렸다. 남한과 북한, 일본 그리고 국제 사회는 히로히토 천황에게 강간과 성노예제에 대한 책임으로 유죄를 선고하였는데. 민간법정이었기에 이 판결은 법적 강제력을 가지지는 않았지만, 국제연대를 통해 시민의 힘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법정에 올리고, 전시 하에서 발생한 여성에 대한 폭력을 단죄할 필요성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2000년 국제법정. 하지만 그로부터 21년이 흐른 지금, 일본군‘위안부’ 운동은 아직도 현재진행 중이고, 오랜 시간이 흐른 만큼 사회적인 시선은 달라졌다. 우리 사회는 지금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충분히 마주 하고있는 것일까? ”히로히토 유죄, 했을 때 뭐 으악 구단 회관이 떠나갔죠. 이건 국제법에 기초해서 봤을 때 범죄다, 는 걸 완전히 알게 한 거죠“ -정진성 교수 인터뷰 中- 일본군‘위안부’로 인한 한일의 외교경색이 심화되고 윤미향 사태로 인해 ‘위안부 문제 자체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 위안부 운동의 의미와 가치는 어떻게 모색해야 하는가. ‘공개증언 30주년 - 김학순, 우리 앞에 서다’ 편은 KBS1TV 금요일 10시 <시사 직격>에서 방송된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21. 08. 13
카테고리       뉴스

더보기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TV조선
  • MBN
  • CHANNEL A
  • Jtbc
  • CJ ENM
  • KBS
  • MBC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