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초점 -부산국제금융단지 해외 금융기업 입주

재생 0| 등록 2020.12.15

{앵커:지난 한주간 지역의 주요 경제계 소식을 들어봅니다. 경제초점, 오늘도 김상진 기자와 함께 합니다. 지난 주에 11년…

{앵커:지난 한주간 지역의 주요 경제계 소식을 들어봅니다. 경제초점, 오늘도 김상진 기자와 함께 합니다. 지난 주에 11년만에 부산국제금융단지에 해외 금융기업이 들어온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그 소식부터 준비했죠?} 네, 그렇습니다. 참으로 오래 걸렸습니다. 앵커께서 얘기했듯 2009년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지 11년만입니다. 부산 문현동 국제금융센터에 6개 해외금융기업이 입주하게 됐습니다. 그동안 명칭에 안맞게 국제금융기업이라고는 전무했기 때문에 이름만 국제적이다, 이런 비아냥도 많이 받았었는데요, 홍콩의 투자*컨설팅기업 3곳, 인도네시아의 블록체인 전문기업, 씨티은행의 외화증권부문, 이스라엘 스타트업 기업 전문지원 업체,이렇게 6곳이 한꺼번에 들어오게 됐습니다. 이렇게 외국기업들 유치에 성공한 배경에는 첫째, BIFC 로얄층인 63층 공간을 무상임대해주는 파격적인 조건도 있었고, 두번째 부산의 적극적인 유치활동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부산시는 말합니다 내년 1월에도 또 다른 기업들의 입주계획이 발표되는데 이번보다 규모가 더 크다고 합니다. {앵커:부산이 그동안 국제금융도시로 인정받기위해 애를 썼지만, 반쪽짜리 금융단지라는 말도 듣고 했었는데 이번 유치는 금융중심도시 추진에 청신호라 봐야하겠죠?} 물론 그렇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대표 금융중심도시를 놓고 서울, 전주와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주목할만한 성과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다만, 부산시가 유치계획을 발표하는 날, 민주당은 국회의사당의 세종이전으로 공백이 생기는 여의도를 국제금융허브로 키우고 서울을 국제금융수도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홍콩을 대체할 곳을 여의도로 만들고 이를 중심으로 서울을 국제금융수도로 만들겠다는 것이죠. 이렇게되면 이번에 홍콩 소재 금융기업을 유치하면서 나름 탈홍콩 이익을 얻겠다던 부산의 계획에는 차질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서울과의 차별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앵커:그동안 서울과 달리 부산은 해양선박금융과 파생상품 쪽으로 특화를 시키려고 했는데, 이런 전략을 바꿔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죠?} 네, 맞습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지금껏 별 성과 없었구요, 특화전략이 실패하니 전체 금융정책도 지지부진한 이유가 됐습니다 실제로 이번에 부산시에서 유치하는 해외금융기업 가운데도 해양금융기관은 없습니다. 부산이 바다를 낀 도시라는 점에서 해양선박금융쪽을 키워보려고 했지만, 최근 상의에서는 자료를 내고 부산이 실제로는 해양금융에 특화하기에는 여러 면에서 맞지않는다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최근 주목받는 것이 블록체인특구에 걸맞는 블록체인 특화 디지털금융입니다. 블록체인과 금융을 결합하면 결국 가상화폐와 관련이 될 수 밖에 없죠, 가상화폐에 대해서는 반대여론도 있긴하지만 블록체인 규제 샌드박스인만큼 과감하게 우리나라에서 예외적으로 부산에 허용해줘야한다는 지적입니다. 과감한 규제철폐가 있어야 국내외에서 디지털자본을 유치할 수 있게 되고, 그렇다면 발전 전략에서 서울과도 분명한 차별성을 보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네, 블록체인 금융 특화라면 전국의 핀테크 업체들도 큰 관심을 가질 것 같고, 현실성도 있어보이는데 부산시가 이런 주장을 놓고 앞으로 그림을 잘 그렸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은 어떤 소식입니까?} 네, 에어부산이 최근 유상증자를 했는데 이와 관련한 소식을 준비했습니다. 지난 주 우리사주와 구주주를 대상으로 유상증자를 했는데, 청약률이 96%를 기록했습니다. 상당히 반응이 좋았는데, 이후 10일부터 진행된 일반공모로도 이 분위기가 전해졌습니다. 일반공모 청약 결과, 627대1의 경쟁률을 보이며 2조1천억원의 돈이 몰린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에어부산은 이번 유상증자 성공으로 확보한 자금을 항공기 리스료와 유류비 등 운영자금에 투입해 유동성 위기를 해소할 방침입니다. 향토기업에 대한 부산시민들의 애정과 함께, 앞으로의 행보에 대한 기대도 반영된 결과라고 보여집니다. {앵커:LCC 통합과정에서 에어부산을 지키기위한 목소리도 커지고 있죠?} 네, 그렇습니다. 지난 주 부산시와 부산상의, 시민사회단체 등이 한 자리에 모여 통합에 대비한 논의의 장을 펼쳤습니다. 참석자들은 신공항을 유치하는 마당에 지역 항공사를 포기할 수는 없다며 에어부산을 절대 놓쳐서는 안되며, 만약 통합을 해야하더라도 그 본사는 반드시 부산에 있어야 한다는데 입을 모았습니다. 부산상의는 앞으로 관계기관들을 포함한 대응 전담팀을 구성해 지역의 여론을 정부와 정치권에 지속적으로 전달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앵커:네, 여론을 하나로 잘 모아서 앞으로 대응의 구심점 역할을 잘 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김상진 기자와 함께 했습니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20. 12. 15
카테고리       뉴스

더보기
KNN뉴스
연속재생동의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TV조선
  • MBN
  • CHANNEL A
  • Jtbc
  • CJ ENM
  • KBS
  • MBC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