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정]햇볕 도시 밀양, 다시 햇살 ′′쨍쨍′′

재생 0| 등록 2020.10.22

{앵커: 한주간의 경남도정 소식입니다. 창원스튜디오에 진재운 경남보도국장 나와았습니다. 경남 밀양에 연일 새로운 소식이 전해…

{앵커: 한주간의 경남도정 소식입니다. 창원스튜디오에 진재운 경남보도국장 나와았습니다. 경남 밀양에 연일 새로운 소식이 전해지고 있는데, 어떤 이야기입니까?} 네 경남 밀양이 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 이번주에 있었던 잇단 행사들 때문인데요, 지난 월요일 삼양식품 밀양공장이 착공됐고, 그제는 뿌리산업 업체들이 정부의 밀양형 상생 일자리 사업에 선정됐습니다. 이들 업체들 모두 밀양 산업단지에 들어서게 됩니다. {앵커:밀양에 새로운 소식으로 채워지는데요. 어떤 의미인지 하나씩 풀어주시죠 } 네 일단 삼양식품 밀양공장의 경우는 원래 부산 기장에 있다 철수한 라면 공장입니다. 이 공장이 20년만에 다시 동남권 지역에 생산기지를 확보하게 된 것입니다. 2천억원을 투입해 경남 밀양 나노산업단지로 들어섭니다. 공장이 완공되면 연간 최대 6억개의 라면 생산이 가능해집니다. 동남권 물류산업과 더불어 수출 전담기지 역할이 기대되는 곳입니다. {앵커:뿌리산업이 상생형 밀양일자리 산업으로 선정된 것도 설명해주시죠} 상생형 밀양일자리 산업은 조금 더 독특합니다. 이 산업은 철을 녹여 만드는 주조나 금형 용접 열처리 등입니다. 없어서는 안될 기초 산업이라해서 뿌리산업이라고도 하지만 오염으로 그동안 도심지에서는 미운오리새끼 취급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상생형 밀양 일자리 산업으로 지정하면서 새로운 모델이 되고 있습니다. 경남도가 전혀 새로운 방법으로 해법을 만든 것인데요, 공해를 줄이면서도 지역에 일자리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이 정부를 설득하게 되면서 3천4백억원의 투자를 비롯해 지역에 오백개가 넘는 일자리가 전망됩니다. {앵커:그렇다면 이 과정에서 누군가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네 그렇습니다. 정부 발표는 그제 오후 4시 였지만 경남도는 오전에 이미 조심스럽게 보도자료를 배포했습니다. 확실하게 선정 된다고 자신하면서도 엠바고를 요청한 상태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김경수지사와 박일호 밀양시장의 투톱체제로 발빠른 움직임이 있었는데요, 오후 4시 정부의 선정 발표와 동시에 곧바로 경남도에서 두 단체장의 성과 발표가 이뤄지면서 투톱은 결실로 이어졌습니다. {앵커:지난주 경남도정에서는 동남권메가시티가 정부의 한국형 뉴딜사업이 됐다는 소식 전해드렸습니다. 이후 진행되는 상황이 궁금합니다.} 네 동남권 메가시티! 잘 될 수있을까 모두들 반신반의 해오던게 사실입니다. 지난주 청와대에서 한국판 뉴딜사업에 김경수지사의 브리핑 이후 지역에서 논의는 더 구체화 되는 듯합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바로 동남권 특별연합입니다. {앵커:′′동남권 특별연합′′! 용어가 아직 생소한데요, 어떤 개념입니까?} 네 경남도가 제시한 개념입니다. 지난 화요일 부산시청에서 지역균형뉴딜 부울경 포럼에서 나온 것인데요, 장기적으로 행정통합으로 간다는 기본 전제 하에서, 특별지방자치단체에 해당하는 동남권 특별연합을 구성하겠다는 것입니다. 생활과 경제 문화 분야에서 공동체의 틀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계기로 오는 2024년까지 공동 행정체계를 마련한다는 것입니다. 동남권특별연합장은 부울경 시도지사 가운데 한명이 맡게 됩니다. {앵커:동남권 메가시티, 부울경 광역단체들의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것 같습니다. 이와관련해서 부울경 인구문제도 처음으로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고 하는데, 어떤 내용입니까?} 그렇습니다. 부울경 각 연구원들을 중심으로 인구정책 토론회가 있었는데요, 바로 KNN이 그동안 지속적으로 보도했던 뉴스기획 인구는 사람이다의 연장선상으로 펼쳐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발제자로 나선 KNN 주우진기자는 더이상 인구를 숫자와 통계의 개념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인구정책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을 강조했습니다. 부산과 울산 경남 각 광역단체 연구원 등에서 나온 토론자들 또한 한 지역에 갇힌 인구 정책의 탈출을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앵커:그렇다면 그동안 자체적인 인구정책을 펴왔던 부울경이 공동의 인구정책 모색을 시작했다라고 봐도 될까요?} 그렇습니다. 논의는 시작 단계였지만 핵심은 인구정책은 이제 공동의 장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산과 울산 경남은 상호 가장 많은 인구의 유입과 유출이 이뤄지는 곳이라는 점입니다. 왜 부산에서 떠나 창원으로 오고 울산으로 주소지를 옮기는지 등에 대한 이유들을 분석해보면 지역간 유기적인 정책들이 나 올 수있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바로 이런 정책이 나와야 지속가능한 동남권 메가시티와도 연계된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경남도정이었습니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20. 10. 22
카테고리       뉴스

더보기
KNN뉴스
연속재생동의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TV조선
  • MBN
  • CHANNEL A
  • Jtbc
  • CJ ENM
  • KBS
  • MBC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