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정] 김경수지사의 ′′부산 메가시티′′ 구상
재생 0회 | 등록 2019.10.10{앵커:한주간의 경남도정 이모저모를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창원스튜디오에 구형모 경남보도국장 연결됐습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
{앵커:한주간의 경남도정 이모저모를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창원스튜디오에 구형모 경남보도국장 연결됐습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의 ′′부산을 중심축으로하는 메가시티′′ 구상이 완성단계에 이르렀다구요?} 그렇습니다. ′′부산 메가시티′′는 언뜻 생각하면 경남도지사의 생각이라고는 쉽게 연결되지 않는 구상인데요. 부산 중심으로 라고 하는 대목도 그렇고 메가시티라고 하는 용어도 노무현,문재인 정부의 적자로서 그동안 지역과 균형발전의 전도사를 자처해왔던 김지사의 행보로 볼때 쉽게 연결되지 않는 단어들입니다. ′′부산 메가시티 구상′′을 풀어서 얘기하면 이렇습니다. 부산을 축으로 울산·경남 경제권을 결합해 수도권 중력에 맞서는 ‘부울경 경제공동체’건설이 바로 그 핵심입니다. 지역균형발전 즉 분산을 위해서는 메가시티 그러니까 오히려 집중이 필요하다는 논리입니다. 모든것을 빨아들이는 수도권 블랙홀과 맞서기 위해서는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이에 맞설 수 있는 거대도시, 메가시티를 만들어야 한다는 구상입니다. 요컨대, 수도권 집중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항할 또 다른 중심을 만들어야 하는데, 부울경에서는 부산을 중심으로 경남과 울산이 하나의 경제 공동체가 되야 한다는 제안입니다. 역설적이긴 합니다만 분산을 위한 집중이 필요하다는 논리입니다. {앵커:그렇다면 노무현정부의 균형발전과 김경수 지사의 균형발전은 어떻게 다른가요? } ′′걸어다니는 노무현 대통령의 기록관′′으로도 통하는 김경수 지사의 부산 메가시티 구상 역시 그 뿌리는 노무현 정부의 ′′균형발전′′과 그 맥락을 같이 합니다. 문제의식 즉 수도권 집중을 막아야 한다는 생각은 같지만, ′′부산 메가시티′′ 구상은 그 해법면에선 차이가 나는 김경수지사의 독자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과거 노무현정부 땐 수도권 집중을 ′′법과 제도로 막으면 사람과 돈이 지방으로 내려가 균형발전이 잘 되리라 믿던 시절입니다, 하지만 17년이 흐른 지금은 이 방법이 안 통한다는 걸 알고 고민한 산물이 김경수식 균형발전 즉 ′′부산 메가시티′′ 건설 구상입니다. 수도권의 자생적인 집중의 힘이 워낙 세서, 정부가 정책으로 택한 ‘분산’즉 행정수도 이전과 혁신도시 건설로는 해결이 어렵다는 걸 알기 때문에 다른 해법을 고민한 겁니다. 서울 중심의 블랙홀을 버틸만한 또다른 중심축을 만들지 못하면 균형발전이 있을 수 없다는 자각에서 나온 김경수 식 균형발전, 대항마적인 집중의 논리인 겁니다. 경남의 생존을 위해선 보다 강력한 부산 메가시티 즉 수도권에 맞설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으로서, 새로운 집중이 필요하다는 논리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앵커:실제로 김지사가 이같은 구상을 실제로도 그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구요?} 지난 월요일 도청에서 열렸던 ′′경남 미래 인구맵 설계용역 최종보고회′′가 대표적인 사례인데요. 이대로 가면 2100년엔 경남인구가 65만으로 급감한다는 인구 예측에 대한 해법으로도 김지사는 ′′부산 메가시티′′ 구상을 피력했습니다. 동남권이 하나의 플랫폼으로 자리잡지 못한다면 인구 급감의 운명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겁니다. 고령화나 저출산 문제 보다는 수도권 집중이 경남 인구 급감의 핵심이라고 김지사는 강조한 겁니다. 동남권 신공항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도 같은 맥락인데요. 김지사가 김해공항 확장보다는 새로운 동남권 신공항이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부산 메가시티와 맥락을 같이하는 김지사식 균형발전 논리로 볼 수 있습니다. 지난주 서울에서 열린 전국 시도지사협의회 총회에서도 ′′특별행정기관의 지방이양′′ 연구를 제안한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됩니다. 김지사의 이같은 구상은 부울경이 하나의 생활권이 되야 하기 때문에 부산 창원간 전철망과 같은 광역 교통망 건설은 기본 전제조건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산 메가시티 구상은 부울경이 수도권의 중력을 이겨낼 수있는 독립적인 경제공동체가 되야 한다는 김지사 생각이 보다 구체적 표현으로 해석됩니다. {앵커:김지사가 대형 포탈사 ′′네이버′′에 대해 모바일에서 지역언론사 뉴스를 배제한 대 대해 항의성 공문을 보낼 것을 지시했다구요? } 김지사는 지난 월요일 네이버의 모바일 지역언론 뉴스 배제에 대해 이를 시정해 줄것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낼 것을 지시했는데요. 이문제는 그간 지역의 시민단체나 지방의회 차원에서만 다뤄졌었는데 광역 자치단체로서는 이례적인 조치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역시 김지사의 지역 균형발전에 대한 깊은 애정과 고민이 묻어나는 조치로 해석됩니다. {앵커:화제를 돌려보겠습니다. 요즘 경남도청에서 바쁜 부서, 많겠지만 단연 농정국이 불난 호떡집이 되고 있다구요? } 그렇습니다. 요즘 한반도에 잇따르고 있는 가을 태풍은 물론이고 축산농가를 비상에 내몰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에 농정국 전체가 말그대로 비상 상황입니다. 연이은 가을태풍으로 수확철 농작물 피해가 커지고 있고 경기도를 무너뜨린 아프리카 돼지열병 확산을 막기위한 방역에도 비상이 걸렸기 때문입니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아직 축산농가가 밀집한 충청도로 까진 확산되지 않았다는 점은 그나마 다행인 셈인데 충청도가 뚫릴경우 경남권역 확산은 시간문제라며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앵커: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구국장 수고했습니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19. 10. 10
카테고리 뉴스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재생 02:33한일톱텐쇼 진해성 목마른 사슴 MBN 251021 방송
-
재생 05:19우리들의 발라드 이예지, 깊은 감정선으로 강한 울림 준 <이은미 - 녹턴>
-
재생 00:22태양을 삼킨 여자 [93회 예고] "나 알아요?", MBC 251022 방송
-
재생 03:02한일톱텐쇼 박서진 비와 당신 MBN 251021 방송
-
재생 05:19우리들의 발라드 최은빈, 섬세하게 가사 전달한 무대 <이승환 - 어떻게 사랑이 그래요>
-
재생 03:22태양을 삼킨 여자 "여긴 어떻게..." 결국 탈출에 성공한 전노민, MBC 251021 방송
-
재생 02:36웰컴 투 찐이네 진해성 무시로 MBN 251020 방송
-
재생 02:42유 퀴즈 온 더 블럭 [예고] 스칼릿 자기님도 등판한 지미 팰런쇼 비하인드부터 글로벌 스타가 된 ‘이재’의 이야기 대공개!
-
재생 03:12태풍상사 [스페셜 선공개] 커피 향보다 달달한 사무실 공기(?) 이준호X김민하 일하다 말고 꽁냥주의보 발령🤭
-
재생 12:53신사장 프로젝트 10화 하이라이트|드디어 알게 된 병원장의 실체, 물러서지 않는 한석규
-
재생 03:24출장 십오야 X JYP 스카우트 [1화 예고 FULL] 협동해라! 책임져라! 생존해라! 제1회 제와피 스카우트에 초대합니다!
-
재생 03:28한일톱텐쇼 에녹 떠날 수 없는 당신 MBN 251021 방송
-
재생 01:29우리들의 발라드 최은빈, 다큐멘터리 속에서 느낀 가장 슬픈 이별
-
재생 03:04태양을 삼킨 여자 "너도 당해봐" 윤아정의 뺨을 내리친 전노민, MBC 251022 방송
-
재생 01:00우리들의 발라드 [10월 28일 예고] 발라드 대곡 폭발! 점점 뜨거워지는 일대일 대결
-
재생 01:31우리들의 발라드 “정말 멋진 무대네요” 박경림×정재형, 온 마음 담은 최은빈의 무대에 보내는 찬사
-
재생 03:16태양을 삼킨 여자 "분명히 있을 텐데" 위치를 알아낸 장신영X서하준, MBC 251021 방송
-
재생 03:25태양을 삼킨 여자 "아빠를 구하러요?" 장신영을 믿고 싶은 박서연, MBC 251021 방송
-
재생 02:56태양을 삼킨 여자 "조폭 두목도 아니고" 윤아정을 찾아간 장신영, MBC 251021 방송
-
재생 03:27태양을 삼킨 여자 "아무것도 아니에요" 도청기를 확인한 장신영X서하준, MBC 251021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