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저장사업, PK 반응 엇갈려

재생 0| 등록 2023.11.12

<앵커> 고리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설치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부산과 경남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지역 원전업계는…

<앵커> 고리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설치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부산과 경남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지역 원전업계는 새로운 시장이 생겨난 만큼 기대감을 갖고 있지만, 운영기한이나 저장량이 정해지지 않아 인근 지역민들의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현재 고리원전내 수조의 사용후핵연료 포화율은 88%에 이릅니다. 늦어도 7년 뒤에는 밖으로 빼내 새로운 건식저장시설로 옮겨야 됩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건식저장시설 설치에 착수했습니다. 지난달 시설 종합설계 업체와 저장용기가 핵심인 시스템 설계업체와 잇따라 계약을 맺었습니다. 설치 사업의 첫 단계인 설계가 시작되는 겁니다. 경남의 두산에너빌리티가 시스템 설계를 맡으면서 지역 원전업계는 수조원에 이르는 국내 사용후핵연로 저장용기 제작 시장 선점을 기대합니다. 해외시장 진출에도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최준근/경남도 에너지산업과장/"(이번 두산에너빌리티 수주는) 앞으로 (원전)해체시장까지 연결될 가능성이 큽니다. 지역 업계 입장에선 사업다각화, 매출 증대 이런 측면에서 굉장히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식저장시설에 보관할 사용후핵연료의 저장용량이나 운영기한 등은 아직 정해진 게 없습니다. 건식시설은 물론 그 다음 단계인 중간과 영구처분시설 설치 등을 규정할 이른바 고준위 특별법 제정이 국회에서 겉돌고 있는 탓입니다. 건식저장시설이 영구 폐기장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부산과 기장 지역에서 나오는 배경입니다. {조원호/장안읍발전위 고준위특별법 TF위원/"그것(특별법 제정)을 안하고 사업을 한다는 건 주민들을 무시하는 거죠. 그렇게 한다면 결국 저항을 주민들은 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이장희/부산시 원자력안전팀장/"건식저장시설의 운영기한, 그리고 지역에 대한 지원방안들을 구체적으로 명시해달라, 그런 다음에 법이 통과돼야한다는게 (부산시) 기본 입장입니다."} "고준위 특별법을 둘러싼 여야간 대결의 배경에는 원전 확대냐 원전 축소냐에 대한 입장차이가 자리하고 있어 21대 국회 임기 내 법 제정은 불투명합니다. 별다른 법적 준비도 못한 채 사용후핵연료 반출을 위한 카운트다운만 시작된 상황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23. 11. 12
카테고리       뉴스

더보기
KNN뉴스
연속재생동의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TV조선
  • MBN
  • CHANNEL A
  • Jtbc
  • CJ ENM
  • KBS
  • MBC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