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토크] 초고령사회 노년 일자리 대책 어쩌나?

재생 0| 등록 2019.09.24

{앵커:취재기자와 함께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부산이 처한 상황 먼저 짚어주시죠.} 네, 부산은 3년 뒤쯤인 오는 20…

{앵커:취재기자와 함께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부산이 처한 상황 먼저 짚어주시죠.} 네, 부산은 3년 뒤쯤인 오는 2022년 전체 인구 5명 가운데 1명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합니다. 전국 대도시 가운데 최초입니다. 특히 50년대 중반부터 60년대 초반생인 베이비부머 54만여명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 역시 전국 최고 수준입니다. {앵커:청년층 유출도 심각한 상황에서 베이비부머들까지 그냥 은퇴해버리면 지역 산업현장에서 일할 사람이 급격히 줄어들어버리는거 아닌가요?} 그게 문제의 핵심입니다. 장노년일자리 정책을 과거처럼 노인복지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경제의 핵심 과제로 이제 바라봐야하는 이유입니다. 그런데 현재 부산시의 장노년일자리 주무부서는 일자리경제실이 아니라 여전히 복지건강국의 노인복지과입니다. 부산시가 장노년 일자리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가 엿보이는 아주 상징적인 부분이죠. {앵커:행정조직이야 그렇다고 해도 정책방향만 맞으면 될텐데 그렇지도 않은가보죠?} 부산시도 재정지원 위주의 노인일자리 사업보다는 민간 영역의 일자리발굴 필요성을 잘 알고는 있습니다. 나름 특화정책도 개발하며 애를 쓰고 있지만 아직 걸음마단계입니다. 이제 고령층에 접어드는 베이비부머 세대는 이전의 노년층과는 좀 다릅니다. 교육수준이 높기 때문에 나름 각 분야의 전문성이 있습니다. 앞선 리포트에서 짧게 인터뷰했던 화이트컬러 은퇴자의 경우도 영업관리분야 임원까지 역임하고 1년전 은퇴했는데 박람회 현장에선 그 노하우를 살릴 일을 찾지 못했던 상황이였습니다. 결국 자신의 주된 일자리에서 오래 일할 수 있도록, 그게 힘들면 관련 분야에서라도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인식에서 최근 정부 차원의 계속고용제 논의도 시작된 건데요, 지역 여건을 더 잘 아는 지방정부도 그에 걸맞게 고령층 일자리 정책을 바꿔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앵커: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물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방영일           2019. 09. 24
카테고리       뉴스

더보기
KNN뉴스
연속재생동의

당신이 좋아 할 만한 영상

  • TV조선
  • MBN
  • CHANNEL A
  • Jtbc
  • CJ ENM
  • KBS
  • MBC
  • SBS